탄소중립 개념

기후변화는 더 이상 미래의 위협이 아닌, 현재 인류가 직면한 가장 심각한 글로벌 과제입니다.

산업화 이후 급격히 증가한 온실가스 배출은 지구 평균기온 상승, 해수면 상승, 생태계 붕괴, 그리고 이상기후 현상을 초래하며 전 지구적인 재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탄소중립이란?

탄소중립이란 대기 중에 배출·방출 또는 누출되는 온실가스 양에서 온실가스 흡수의 양을 상쇄한 순배출량이 0이 되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넷제로(Net-Zero)라고도 부른다.

왜 탄소중립이 필요한가?

  • 기후위기 대응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극단적인 기후재난을 예방하고 인류 생존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선택

    자원 고갈과 환경 파괴를 막고, 다음 세대에게 건강하고 안전한 지구를 물려주기 위해 탄소중립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 경제적 경쟁력 확보

    탄소세 도입, 탄소국경조정제 등 글로벌 탄소 규제가 본격화됨에 따라, 기업과 국가의 탄소중립 실현 여부는 수출경쟁력과 직결됩니다. 저탄소 기술과 에너지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곧 미래 경쟁력입니다.

  • 사회적 책임 이행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판단하는 핵심 기준으로 떠오르면 서, 탄소중립 실현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이행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

국가비전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여 탄소중립 사회로 이행하고, 환경과 경제의 조화로운 발전을 도모

전략목표

탄소중립·녹색성장, 글로벌 중추국가로의 도약

3대 정책방향

  • 책임있는 실천

    과학과 합리에 바탕을 둔 의사결정과 정책 추진

  • 질서있는 전환

    법과 절차의 준수, 초당적 협력과 사회적 합의 중시

  • 혁신주도 탄소중립·녹색성장

    혁신에 기반한 온실가스 감축 및 경제·사회 구조 전환

4대 전략·12대 중점 과제

  • 01
    온실가스 감축책임감 있는 탄소중립

    1무탄소 전원 활용 2저탄소 산업구조 및 순환경제 전환 3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

  • 02
    민간혁신적인 탄소중립·녹색성장

    4탄소중립·녹색성장 가속화 5세계시장 선도 및 新시장 진출 6재정·금융 프로그램 구축·운영 및 투자 확대

  • 03
    공감과 협력함께하는 탄소중립

    7에너지 소비 절감과 탄소중립 국민실천 8지방 중심 탄소중립·녹색성장 9산업·일자리 전환 지원

  • 04
    기후위기 적응과 국제사회능동적인 탄소중립

    10기후위기 적응 기반 구축 11국제사회 탄소중립 이행 선도 12상시 이행관리 및 환류체계 구축